Server(72)
-
[LINUX] rocky8 서버에 nfs 공유 볼륨 구성하기
$ sudo rpcbind start대상 os : rocky8서버 host : test-server1, test-server2, test-server3 test-server1을 nfs-server로 설정하고, test-server2, test-server3을 nfs-client로 구성하고자 한다. nfs-server 구성하기test-server1에 대해 nfs-server를 구성한다.아래와 같이 yum update를 진행한 후 rpcbind와 nfs library를 설치 하자.$ sudo yum update$ sudo yum install rpcbind nfs* /etc/exports에 아래의 형태로 공유하고자 하는 볼륨 정보를 기입해 준다. 공유 볼륨 기입 전에 공유하고자 하는 폴더는 미리 생성해 주도..
2025.03.06 -
[LINUX] E: The repository 'http://security.debian.org/debian-security stretch/updates Release'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2년 전에 마지막으로 빌드했던 docker file을 빌드하려고 했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E: The repository 'http://security.debian.org/debian-security stretch/updates Release'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debian에서 저장소 repo가 업데이트 되었고, 이전 저장소는 삭제가 되어 발생한 에러였다. 아래와 같이 해당 위치에 있는 list 파일에서 저장소 url을 수정해 주자. /etc/apt/sources.list기존deb http://deb.debian.org/debian stretch maindeb-src http://deb.debian.org/debian stretch maindeb http:..
2023.09.11 -
[LINUX] dockerfile에 pythonpath를 환경 변수로 잡기
ENV PYTHONPATH "${PYTHONPATH}:[추가할 경로]"
2023.01.07 -
[LINUX] 우분투에 python3.10 설치하기
ubuntu docker image를 다운 받아서 해당 이미지에 python3.10을 설치하려고 한다. 아래는 python3.10을 설치하는 docker file FROM ubuntu:18.04 RUN mkdir -p /app WORKDIR /app RUN apt-get update RUN apt-get install -y git build-essential zlib1g-dev libncurses5-dev libgdbm-dev libnss3-dev libssl-dev libreadline-dev libffi-dev libsqlite3-dev wget libbz2-dev liblzma-dev # python 설치 RUN wget https://www.python.org/ftp/python/3.10...
2023.01.06 -
[LINUX] Bad Substitution
$> ./test.shalpine으로 만든 docker 컨테이너 내에서 위와 같이 실행하면 bad substitution이란 에러가 발생하며 실행이 안된다.bad substitution의 경우 shell이 다른 경우에서 호환성 문제로 발생하는 에러 메시지로 위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bash shell로 실행해주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 bash test.sh
2023.01.05 -
[LINUX] dockerfile로 container 생성 시 container를 계속 띄우기
dockerfile로 image를 만들고 생성된 image를 컨테이너로 만드는 과정에서 컨테이너 내에 직접 들어가서 디버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이렇게 컨테이너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가 종료하지 않고 계속 떠 있어야 하는데 dockerfile 에서 cmd 명령을 아래와 같이 주면 컨테이너가 종료하지 않고 계속 떠 있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FROM python:3.8-slimCMD ["tail", "-f", "/dev/null"] /dev/null은 리눅스의 null device로써 입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EOF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해당 null device 파일을 계속 tail을 검으로써 해당 container가 종료되지 않고 계속 살아있게 둘 수 있다. 이 외에서 무한..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