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라스틱 서치(2)
-
Elastic search 모든 데이터 가져오기
Elastic search의 경우 각각의 shard에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고, 검색 시 각 shard 들로부터 데이터를 모은 후 정렬해서 결과를 뿌려주는 방식으로 검색이 제공된다. 이렇게 모은 후 정렬해서 결과를 뿌려주기 때문에 더 큰 사이즈 혹은 더 많은 사이즈의 요청 시 해당 결과를 못 주는 경우가 있다. 다시 간단히 설명하자면, 내가 만약 10000개의 데이터를 Elastic search에 요청하게 되면, 각 shard에서는 10000개씩 데이터를 가져오게 되고, 10000개씩 모든 데이터(예를 들어 shard가 5개라면 50000개)를 정렬 후에 10000를 추린 후 결과를 주게된다. 결과적으로 from, size 등을 통해 es에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려고 시도하게 되면, 10000건 이전까..
2021.11.14 -
키바나에 이미지 표시하기. (링크 달기)
es에 있는 데이터를 키바나를 통해 많이 확인하곤 한다. 하지만 가끔씩 키바나로 보는 데이터가 불편할 때가 있다. 첫 번째 예로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키바나에서 렌더링 결과를 뿌려주면 데이터 확인이 더 쉬울 것 같은데 해당 기능을 찾지 못해서 매번 이미지 주소 클릭 후에 이미지를 확인하곤 했었다. 두 번째 불편함은 url 주소가 있는 경우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렌더하면 편한데 그게 안되서 복사한 후 브라우저에 붙여서 확인하는 점이 불편했다. 이 포스팅에서는 위 두 가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키바나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kibana의 왼쪽 메뉴에 있는 management를 클릭한다. management를 클릭 후 오른쪽 화면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index name을 선택 한다. ..
2021.10.18